목조주택 김검사의 지붕검사 15탄

81d4866dc3cefe973bdf8f5ed37ab4a1.png.jpg

 

“김 검사의 지붕 검사” 시리즈에 포함된 내용은 국제 공인 인스펙터 협회의 구성원들의 2년간의 연구와 발표 등에 대한 자료를 인용했으며, 이 시리즈의 목적은 주택의 경사진 지붕의 적절한 조건과 부적절한 조건을 인식하는 방법을 도움이 필요한 시공사(자)와 건물주 또는 설계자에게 알리기 위함이다.

 

시리즈의 주요 내용은 <지붕 골조, 재료 및 마감재, 바람이나 우박을 포함한 지붕 구성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다룬다.또한 “김 검사의 데크 검사”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단독주택과 일부 상업용 부동산에 해당하는 사항 등을 주거용 주택 검사 실무 표준(SOP) 및 상업용 부동산 검사 실무 표준(ComSOP)의 요구 사항을 준수하여 작성하였다.

 

제한사항 : 특정 지역의 건축법, 목재 수종, 목재 등급, 합성 목재&특수 목재, 곰팡이, 터마이터와 곤충류에 대하여는 다루지 않았다. 

 


 

-3 Point Control : 사다리 이용을 위한 3점 제어-

 

사다리는 수평 바(수평)를 잡아야 합니다.
사다리의 수평 바(Bar)를 꽉 잡은 행위를 수평 파워 그립이라 부릅니다.
만일이라도 통제가 되지 않는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한 손은 항상 파워 그립으로 수평 바를 잡아야 합니다.

수평 바를 잡은 파워 그립은 수직 바를 잡을 때보다 75~94% 더 큰 접지력의 발휘가 가능하므로
사다리 이용 시에는 수평 바를 잡아야 합니다.


수직 바(세로)는 위험합니다.
미시간 대학의 한 연구에 따르면 ‘남성도 수직 바를 한 손으로 잡은 상태로는 체중을 지탱할 수 없다.’라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인간의 손이 반응하고 물체를 잡는 데는 0.33초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대부분의 사람이 수직 바를 잡고 있다가 미끄러지면0.25초 만에 바로 아래 수평 바에 손을 부딪치게 됩니다.
따라서, 추락을 인지하고 손의 근육이 반응하더라도 우리의 손은 이미 수평 바를 지나치게 됩니다.

 

결론적으로
사다리는 수평 파워 그립 상태여야 하며, 3점 제어의 의미는 3점 접촉이 아닌
체중을 3~4곳으로 적절히 분배하는 것을 말합니다.


개인의 안전율을 높일 수 있는 사다리 3점 제어에 대하여 스스로 시뮬레이션을 해보는 것만으로도 큰 도움이 됩니다.


안전에 대한 안내는 너무나 당연한 정보여서 참신하지 않고 언제나 지루한 경향이 있습니다.
이번 기사에서는 안전에 도움이 될 몇 가지 정보를 전달해보려 합니다.

 

-인스펙터 김검사,CMI-

 


 

GAINING ACCESS to the ROOF (지붕 접근하기)

 

Access by Window (창문 활용하기)


지붕을 오르기로 했다면 접근 방법 중 가장 좋은 것은 창문을 통해 오르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의 장점은 사다리를 사용할 일이 없기 때문에 가장 안전한 방법이지만 단점으로는 방충망, 창틀, 또는 벽체 등의 마감재 손상이 가능할 수도 있다.

 

지붕검사_1.JPG

 

핸드레일을 밟거나 인접한 지붕 경사면으로 올라가거나 데크나 발코니에 사다리를 설치하여 지붕에 접근할 수도 있다. 단, 핸드레일을 이용한 경우에는 오를 때와는 다르게 내려오는 일이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하므로 하강 예비 책을 강구해 두어야 한다.

 

 

LADDERS (사다리)

 

지붕에 접근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사다리를 이용하는 것이다. 사다리는 올라갈수록 불안정해지기 때문에 안정화 방법을 찾는 것이 좋다. 인스펙터 뿐 아니라 건설 현장에서 직면하게 되는 가장 흔하고 심각한 추락 위험 중 하나는 사다리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특히 지붕에서 사다리로 갈아탈 때이다. 가능하다면 벽체 모서리에 사다리를 위치하면 조금이나마 안전을 확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초보 인스펙터들은 이런 경우를 분명히 마주하게 된다. 지붕을 오르기 용이한 수평 처마(eave) 라인에 사다리를 기대게 되면 물받이 라인에 흠집이 생기거나 찌그러지지는 않을까 하는 생각 말이다. 그래서 찌그러질 물받이가 없는 경사 처마(rake) 라인에 사다리를 설치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자연스럽게 하게 된다. 이 부분은 북미의 인스펙터들도 동일하게 느끼는 부분으로 건축물 보호를 위한 본능적인 부분이라 생각이 든다.


그러나 이때는 찌그러지더라도 물받이 부분에 사다리를 설치하는 것이 안전을 위해서는 올바른 선택이다. 물받이 손상 vs 안전을 선택해야 한다면 안전을 선택하기 바란다. 물론, 거터 프로텍트 같은 액세서리를 사용하면 물받이 손상과 안전 모두를 취할 수도 있다.

 

지붕검사_2.JPG

 

Choosing a Ladder (사다리 선택)

 

대부분은 사다리를 사용해서 지붕에 오르므로 실제 지붕에 접근할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사다리이다. 좀 더 강조하자면 ‘내가 사용하는 사다리’이다. 이 말은 아무렇게나 비치된 사다리는 사용을 하지 말라는 것이다.


물론 계속 사용되고 있던 사다리라면 상관없지만 방치된 사다리였다면 ‘손상된 사다리와 다름없다’라는 마음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여기서는 다양한 종류의 사다리와 사용되는 상황을 살펴볼 것이지만 어떤 사다리를 사용하든 몇 가지 규칙은 알고 있어야 한다.

 

 

Load capacity (적재 용량)

 

우선은 안내 라벨을 통한 허용 하중을 확인해야 한다. 이 부분은 북미든 유럽이든 한국이든 사용단위만 다를 뿐 비슷하다고 판단하면 된다.

 

지붕검사_3.JPG

 

일부 모델의 등급은 최대 375파운드(175kg)의 무게를 감당할 수 있는 강도의 특별한 사다리를 제조하기도 한다.

 

지붕검사_4.JPG

 

인스펙터에게 사다리는 필수로 필요한 장비이며 많이 사용하게 될 장비이다. 저품질 사다리는 가격이 저렴할 수 있지만 견고한 내구성의 고품질 사다리만큼 안전을 보장해주지 못한다. 그래서 인스펙터의 꿈을 가진 예비 인스펙터에게는 감당할 수 있는 최고등급의 사다리를 갖추도록 권장하고 있다.

 

Purpose (목적)

 

용도에 맞는 사다리를 사용하면 더욱 안전하다.
확장 사다리는 지붕에 접근하는 데 좋고 작은 사다리류는 다락방 해치에 접근하는데 더 좋다.

 

지붕검사_5.JPG

 

Safety Rules for All Ladders (모든 사다리에 대한 기본 안전 규칙)

 

청소 : 기름 및 기타 미끄러짐 위험이 오물 제거
과적 금지 : 표시된 용량 이상으로 사다리 사용 금지
전기적 위험 주의 : 노출된 전기 배선 주변에서의 사다리를 사용 금지
올바른 사용법 : 예를 들어 사다리를 발판으로 사용 금지
안정적 설치 : 사다리를 오르기 전에 사다리가 안정적인지 확인
안전한 이동 : 사다리 위에 있는 동안 흔들거나 이동 금지
컨티션 저하 시 사용 금지 : 건강. 알코올, 약물 또는 약물의 영향 등
예기치 않게 내려와야 하는 경우, 현명한 판단과 주의 필요 : 사다리를 타고 있는 동안 아프거나 현기증이 나거나 공황 상태에 빠지면 서둘러 내려가려고 하지 말고 상태가 완화될 때까지 꼭 붙들고 기다렸다가 천천히 조심스럽게 내려오기

 

이런 것들 외에도 작업 중 안전사항들이 낯설지 않도록 직관적인 안내들을 우리는 자주 접한다.

 

지붕검사_6.JPG

지붕검사_7.JPG

 

 

 

그럼에도 너무도 위험한 상황을 우리는 자주 만나게 된다.
심지어는 사진과 같은 무용담을 듣기도 한다.
자료들은 웃음이나 의아함이 높아질수록 위험도도 높아진 상태라 생각하면 된다.

 

지붕검사_8.JPG

지붕검사_9.JPG

지붕검사_10.JPG

지붕검사_11.JPG

 

 

결론적으로 사다리의 사용은 건설에 필수적 요소이다. 때로는 불행하게도 잘못된 사다리 사용으로 인해 치명적인 추락사고로 연결된다.


소규모 건축물의 안전 관리 수준이 비교적 우수하다는 미국도 사다리 사용에 관한 안전 위반에는 최대 13,000달러, 우리 돈으로 약 1,500만 원의 벌금이 집행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한 해, 최소 70여 명의 노동자가 사다리에서 떨어져 사망하고 4,0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불구는 아닐지라도 사고로 인한 치료를 몇 달 동안 받는다. 이런 사례들로 베테랑 건설 노동자들도 사다리 사용 방법을 포함한 안전 교육을 정기적으로 실시한다.

 


Three essential guidelines (4가지 필수 지침)


한국의 산업안전보건공단 격인 미국의 OSHA(산업안전보건청)는 매년 10대 재해율을 발표한다. 이중 사다리 부분은 사고로 이어지지 않은 약 2,500여 건의 위반 건수로 상위 3~6위를 정도를 차지한다.

 

지붕검사_12.JPG

 

 

안전사고도 종류가 있듯이 사다리 안전사고에도 종류가 있다.


[ 3ft ]
사다리 안전사고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4가지 중 첫 번째는 안전 높이인 3ft(900mm) 유지하기

 

지붕검사_13.JPG

 

 

[ Tie ]
두 번째는 사다리 상단 고정하기

 

지붕검사_14.JPG

 

 

[ 3 Point ]
세 번째는 3점 제어라 부르는 3-point rule

 

지붕검사_15.JPG

 

 

[ 4:1 ]
주요 규칙 마지막 네 번째는 사다리의 적정 각도 유지로 4:1 비율 지키기이다.

 

지붕검사_16.JPG

 


l 글·사진 김준걸 대표

image01.png

더 김 인스펙션 김준걸 대표는 프로페셔널 엔지니어(PE)이자 국제 공인 인스펙터(CPI)이다.
미국 교육부가 인정한 인스펙션 교육 단계 전체를 패스하여 인증서를 발급받은 유일한 멤버이며 InterNACHI 한국 지부장으로 활동 중이다. 주택교육 전문 기관인 PITI KOREA를 운영하고 있으며 주택검사(인스펙터) ‘김검사’로 알려져있다.

 

 더 김 인스펙션 | 김준걸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