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시브건축 전문 시공업체 플랜트리
현장소장의 시공 기록
더 나은 목조주택에 대한 욕심
인간은 사회역사적으로 발전을 해왔고, 그에 기반이 되는 것은 현재보다는 더 나은 것을 찾는 욕심, 혹은 본성이라고 생각한다. 마찬가지 로 북미식 경량목조주택이 국내에 소개되고, 수 십 년이 지난 지금 사람들은 더 나은 목조주택을 찾는다.
그리고 플랜트리는 더 나은 목조주택에 대한 욕심을 가지고 패시브하우스(passive house)를 시공한다. 문맥상으로는 ‘passive’는 부정 적인 의미를 갖는 것처럼 보인다. 한국어로 번역한다면 ‘수동적인’이라는 의미인데, 적극적으로 표현하자면 주어진 것을 그대로 받아들 인다는 의미일 테다.
패시브라는 단어에서 부정적으로 느껴지는 의미와는 달리 패시브하우스는 지금 새로운 목조주택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다. 주어진 주 택 환경을 받아들이고 그 환경에서 최대한의 거주효과를 창출하고자 하는 것이다.
패시브하우스의 정의
국립산림과학원에서 발행한 「목조 패시브하우스 설계기술」에서 “패시브하우스는 일반적으로 난방을 위한 설비의 운용 없이 겨울나기 가 가능한 집을 말한다. 독일의 패시브 기준으로 보면 사용 면적당 연간 난방에너지 요구량이 15kWh(약1.5리터) 이하여야 하며, 계획단 계에서 고 단열·고기밀로 설계하고 폐열회수장치를 이용함으로써 가능하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패시브하우스의 목적은 분명하다. 해당 주택의 거주자가 쾌적한 삶을 영위하는 것은 기본이고, 주택에 들어가는 연료의 최소화이다. 속 된 말로 패시브하우스는 곰팡이나 결로는 나타나지 않을뿐더러 난방과 냉방을 위해 쓰이는 연료를 ‘0’에 가깝게 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패시브하우스를 짓기 위한 노력
우리나라는 1년의 온도차가 매우 심한 곳이다. 극단적으로 여름에는 영상 40도에 육박하다가 겨울에는 영하 20도 가까이 떨어진다. 다 시 말해 1년에 60도 가까운 온도변화가 있는 지역이다. 이에 반면에 우리가 내부를 거주하면서 1년 동안 유지하고자 하는 온도는 영상 20~30도 내외로 그 변화가 적다.
그래서 플랜트리는 패시브하우스를 위해 첫 번째로 단열에 집중한다. 열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는 보편적인 물질은 없지만 최대의 단열 효과를 위한 방법은 있다.
우리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이중벽체 또는 외단열을 적용하고 있으며, 주택에서 불가피한 단열취약점인 창호에 있어서도 단열 및 기밀 에 뛰어난 독일식 창호를 적용하고 있다.
보온병의 원리를 적용하고자 하는 것이 패시브하우스의 시작점이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 보온병의 구성하는 부속에 틈 생긴다면 보온성 능이 떨어지는 것은 다들 경험상 알고 있을 것이다. 플랜트리가 패시브하우스를 위해 두 번째로 집중하는 것은 기밀이다.
주택시공에 있어서 기밀이란 내부와 외부 사이의 벽체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통제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로 기밀은 단열과 밀접한 관 련을 갖는다. 제 아무리 뛰어난 성능의 단열을 하더라도 열과 습기를 수반하는 공기의 이동은 결국 단열재의 단열 성능을 저하시킬 수밖 에 없다. 실제로 플랜트리에서 시공상 가장 민감하게 시공 및 감리하고 있는 부분은 기밀 분야이며, 이미 여러 번의 테스트에서 플랜트리 의 기밀시공은 좋은 결과를 내왔다.
마지막으로는 생활하면서 나오는 냉기 및 열기를 재활용하는 부분이다. 이는 열회수환기장치라는 기계적인 부분이다. 단열을 위해 기밀 이 된 공간에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내부의 이산화탄소들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는다면 제 아무리 따뜻하고 시 원한 공간이라고 하더라도 사람이 살 수 있는 공간은 아니다.
생각해보면 우리는 환기라는 것을 통해 쾌적한 주거상태를 유지하곤 했다. 이미 단열과 기밀에 집중했고, 이를 통해 열의 이동을 통제하 고 있는 패시브하우스가 직접적으로 창문이나 문을 통해 열을 이동시킨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패시브하우스의 의미가 상실되는 것이다. 결국 패시브하우스는 단열과 기밀로 밀폐된 공간에 숨을 불어넣어주는 역할을 열회수환기장치를 통해 한다. 단열과 기밀로 인하여 유지 하고 있는 내부의 공기가 열을 빼앗기지 않고 신선한 외부의 공기로 교체되어지는 것이다.
그 외의 프랜트리가 생각하는 목조주택
플랜트리는 최고의 목조주택을 꿈꾸지만 일반인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목조주택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가장 기본적인 목조주택을 추 구한다. 구조적으로도 가장 기본적으로 시공되어져야 하며, 거주자의 기본적인 요구에 부응하고자 한다. 다만 기본적이면서 만족도가 높 은 주택, 특히 목조주택의 장점을 더욱 부각하며, 목조주택이 나아가야 할 길을 고민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