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조주택 김검사의 지붕검사 20탄

지붕1.jpg

 

“김검사의 지붕검사”시리즈에 포함된 내용은 국제 공인 인스펙터 협회의 구성원들의 2년 간의 연구와 발표 등에 대한 자료를 인용했으 며 이 시리즈의 목적은 주택의 경사진 지붕의 적절한 조건과 부적절한 조건을 인식하는 방법을 도움이 필요한 시공사(자)와 건물주 또 는 설계자에게 알리기 위함입니다.

 

시리즈의 주요 내용은 지붕 골조, 재료 및 마감재, 바람이나 우박을 포함한 지붕 구성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을 다룹니다. 또한 “김검사의 데크 검사”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단독주택과 일부 상업용 부동산에 해당하는 사항 등을 주거 용 주택 검사 실무 표준(SOP) 및 상업용 부동산 검사 실무 표준(ComSOP)의 요구 사항을 준수하여 작성하였습니다.

 

제한사항 : 특정 지역의 건축법, 목재 수종, 목재 등급, 합성목재&특수목재, 곰팡이, 터마이터(흰개미)와 곤충류에 대하여는 다루 지 않았습니다.

 


 

지붕2.jpg

| 인스펙터 김검사,CMI

 

- 알고 있는 것과 나중에서야 알게 되는 것의 차이-

 

주택을 매수하는 일은 일생에 자주 있지 않으며 단일 지출 중 가장 높은 금액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큰 금액을, 일생에 단 한번 지출하는 이런 때 든든한 보험처럼 돈과 시간을 보호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주택검사 밖에 없다.

 

주택검사가 가치 있는 몇 가지 이유

 

1. 나중에 상당한 지출을 피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유지 관리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된다.

3. 안전 문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4. 현 상태 파악으로 무지로 인한 부당거래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할 수 있다.

 

위의 이점 외에도 매매 전 주택검사를 통해 중대한 문제를 발견하면 계약을 다시 생각해보거나

거래자에게 필요한 수리를 요청 혹은 수리비만큼의 비용을 가감하여 거래를 시도할 수 있다.

만약에 주택검사 없이 건물을 그냥 매수했다면? 매도 후 문제가 발생하면?

법으로 보장받더라도 지난한 과정을 겪는 괴로운 시간을 보낼 확률이 높다.

 

 

LONG-TERM SERVICE LIFE, Part 2 (장기 사용 수명 2)

 

Climate Zone (기후대)

 

아스팔트 슁글의 수명은 건물이 위치한 기후대에 따라 노출 기간이 결정된다. 기후는 고온, 저온, 건습의 조합으로 각기 다를 수 있으며, 각각의 기후는 슁글 뿐 아니라 지붕의 다른 구성 요소에도 영향을 미친다.

 

Thermal Cycling (열 순환)

 

“Thermal Cycling”은 해가 강한 낮에는 지붕이 뜨거워지고 밤에는 차가워지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이다. 열 순환이 활발 하면 슁글을 포함한 지붕의 모든 구성 요소가 늘어나고 반대로 차가워지면 줄어든다.

 

지붕3.jpg

▲ 변화량은 노후화될수록, 온도차가 클수록, 유기계일수록 커진다

 

 

지붕4.jpg

▲ 활발한 열 순환으로 슁글 깨짐 발생

 

지붕에서 느끼는 온도 차(일교차이)가 클수록 지붕을 구성하는 요소 들은 더 많은 수축팽창 활동을 하게 되므로 극단적인 열 순환에 노출 된 지붕은 그렇지 않은 지붕에 비해 빠른 열화를 보일 수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아스팔트 슁글의 열 순환은 다음 5가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기후대

∙ 슁글 레이어 수(겹수)

∙ 지붕 내 통기(환기)의 적절성

∙ 슁글 색상

∙ 그래뉼 코팅의 특성

 

 

Shingle Color (슁글 색상)

 

더운 기후대에 놓인 건물일수록 밝은 색상의 슁글을 사용하면 적은 열 흡수로 건물 노후화를 늦출 수 있다.

 

색상은 상상 이상으로 지붕 온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밝은 색과 어두운 색 사이의 온도 차는 최대 17° 도로 나타난다.

뜨거운 여름철 외기 온도가 32°도 인 경우,

백색 슁글로 마감된 지붕 표면의 온도는 약 65°도 이며 검정은 약 80°도에 도달한다. 열 사이틀이 높을수록 지붕 열화가 가속되므로 표 면 온도를 낮출 수 있다면 슁글 수명 연장이 가능해진다고 할 수 있겠다.

 

 

Home Site Conditions (집 주변 조건)

 

지붕5.jpg

▲ 나뭇가지 스크래치, 이끼 발생

 

하자 진단 실사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주변 환경으로 인해 일어나는 흔한 문제에 예민하지 않고 익숙해진다.

 

그 익숙한 문제 중 대표적인 것은 지붕에 근접한 나뭇가지가 슁글을 마모시키거나, 그 나무들이 지속적으로 내뿜는 습기와 그늘로 인해 이끼류가 번식되는 경우들이 포함된다.

 

 

국내보다 리얼한 야생환경을 가진 북미 사례 중에는 다람쥐나 너구리와 같은 야생동물들에 의한 테러 또는 해를 거듭하여 쌓인 낙엽들이 배수로(선홈통, 물받이)를 막아 처마를 통해 실내로 역류 등도 집 주변 조건으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라고 할 수 있다.

 

Elevation (고도)

 

고도가 높은 위치에 설치된 슁글은 낮은 고도에 설치된 슁글보다 더 많은 자외선에 노출된다.

자외선은 슁글의 변형방지 등에 저항하는 아스팔트 층을 굳게 만드는 열화 촉진제로서 높은 고도에 설치된 슁글일수록 수명을 짧게 만 드는 요소이다.

 

지붕6.jpg

▲ 높은 산맥에 위치한 건물

 

 

Quality of Maintenance (관리 품질)

 

지붕의 관리가 잘 안되는 이유는 시기를 놓치거나 관리 여력이 없거 나 혹은 방법을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추측해볼 수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실제로 만나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관리의 필요 자 체를 생각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지붕의 형태를 갖춘 건물을 가진 거주자 혹은 관리자라면 적어도 1년에 1번은 장비 등에 의존한 물받이 청소 및 손상된 지붕 수리와 같은 활동을 해야만 치명적인 물 문제 등과 같은 예상하지 못한 상당한 지출을 피할 수 있다. 적절한 관리 시점은 낙엽이 모두 떨어진 초겨울이나 장마 이전이 가장 좋다.

 

 

SOURCES of DAMAGE

(손상의 원인)

 

인스펙터의 시선에서 아스팔트 슁글로 마감된 지붕을 검사할 때, 문제를 인식한 부분에 대하여 모든 원인을 확인할 필요는 없다.

다만, 현 상태가 왜 문제인지 이유는 알아야 한다.

 

문제 대부분은 단일 원인이 아닌 다양한 원인들의 조합된 결과로 다양한 원인은 6가지로 정리될 수 있고 그 중 첫 번째는 설치 결함이라 할 수 있다.

 

 

Installation (설치)

 

설치 결함에 대한 문제를 인식하려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 재료의 특성과 한계 그리고 설치의 기본 사항을 함께 이해해야 한다.

 

지붕7.jpg

▲ 제공-ROOFER HARBECK

 

아스팔트 슁글의 보증 효력은 제조사 권장사항대로 설치했을 경우에 한하여 가능한데 반해 지붕 재료에는 너무 많은 제품과 조건이 있어 존재하는 모든 것을 보증조건에 맞게 설치했는지 가려내기는 어렵다. 또한 이미 설치된 슁글만으론 제조사가 어디인지 불분명하여 권장사항 및 준수 여부의 확인도 어렵다.

 

그러므로 검사는 설치결함을 찾고 원인을 유추하여 문제에 해결이 가능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최우선이며, 제조사 권장사항 비교나 결과 보고서 등은 차순위이다.

 

시공자는 종종 현재 출시되고 있는 슁글이 제조사와 상관없이 동일한 시공방식을 가진다고 착각하는 경우가 있다. 제조사가 다른 여러 종류의 슁글들 중에는 설치 요구사항이 다른 경우들도 있으니 시공에 앞서 제조사 매뉴얼을 탐독하는 것이 좋다.

 

지붕은 하나의 시스템으로서 슁글 상태만으론 적절한 상황인지, 제대로 설치했는지 가늠하기 쉽지 않다. 이 말은 제조업체의 권장사항에 따라 슁글을 올바르게 설치하였더라도 이전에 선행된 언더레이(방수쉬트) 및 플레슁 적절성에 따라 슁글의 건정성이 달라진다는 이야기다.

3가지(언더레이먼트, 플래슁, 슁글) 구성 요소는 누가 어떻게 계획했으며, 건물 위치는 어디에 존재하는지에 따라 적절성의 정도가 달라진다.

 

미국처럼 국토가 큰 나라는 주 정부 대부분이 채택하여 사용하는 빌딩코드(건축법규)에 Climate Zone(기후 기반 지역대)이 나눠져 있다.

 

지붕8.jpg

 

 

건물의 위치에 따라 적절성의 조건이 달라지는 이유는 국토가 동서 혹은 남북으로 길어 다양한 기후가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기준을 모 든 지역에 통용하면 안된다는 과학적 사실 때문이다. 빌딩 사이언스 관점에서 보는 사실 중 하나는 이렇다.

 

동일한 자재를 동일한 방식으로 시공했어도

기후대(온도 습도)에 따라

하자 발생 여부는 달라진다.

 

Building Codes (건축 법규)

 

빌딩코드는 북미 뿐 아니라 전 세계 38개국에서 채택하여 사용하는 건축법규로 목조주택을 이야기함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부분이다.

미국의 경우, 빌딩코드를 주 정부에서 지역 단위(주, 도, 카운티)에 관계없이 자유롭게 채택하거나 일부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채택하지 않고 고유의 법규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건축 규제는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AHJ(authority having jurisdiction)에서 관할권을 가지며, AHJ(지역의 관할 부서)는 빌딩코드를 기준으로 법적 권한을 가진다.

 

채택이 가능한 빌딩코드는 공정별로 15가지가 존재한다.

15가지의 빌딩코드 중 IRC(주거용 건물에 적용 가능한 빌딩코드)는 3층 이하의 소규모 건축물에 적합하며, 흔히 이야기하는 IBC(상업용 빌딩이나 면적이 더 커서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이 이용하는 건축물에 적용하는 법규)는 소규모 건축물에는 해당 사항이 없다.

15가지의 빌딩코드는 3년마다 재개정되어 다양한 버전이 존재하며 현재 38개국 377개 도시에서 채택한 빌딩코드는 전 세계에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건축법규 중 하나다.

 

ICC의 빌딩코드가 사용되기 전에는 Uniform Building Code가 널리 사용된 대표적인 코드이고 북미의 또 하나의 국가인 캐나다는 NBC(National Building Code)를 참조하여 건축에 활용한다.

 

지붕9.jpg

▲IRC, UBC, NBC 코드집

 

 

지붕10.jpg

▲빌딩코드를 주관하는 ICC로부터 인증받은 코드 인스펙터

 

 

북미의 빌딩코드가 3년마다 개정된다 하여 건물 또한 업그레이드 될 필요는 없다.

국내 상황도 동일하지만 빌딩코드는 최초 건설 시 또는 주요 공사가 진행될 때 준수하면 된다.

 

빌딩코드는 사람들을 보호하기 위해 수년에 걸쳐 개발되고 지속 연구되는 법규로 주택 검사에 있어서도 유용한 지침서 역할을 하는 것이 사실이라 빌딩 인스펙션 업무에 빌딩코드 지식은 필수라 할 수 있다.

 

 

Absolute building Code (절대적인 빌딩코드)

 

2018년 국토교통부에서 고시한 소규모건축기준(목구조)이 ‘IRC 일부를 번역했다.’라는 느낌이 든다 하여 모든 빌딩코드를 맹신할 수는 없다.

 

우리나라는 기후대뿐 아니라 많은 부분에서 거주 형태나 건축 기준이 다르므로 한국의 실정을 모두 반영하지 못한 빌딩 코드가 우리의 건 축법보다 상위에 있을 수는 없다. 그러나 안전과 강도에 대한 목조주택 연구가 거의 없는 국내 현실에서 관련 업체가 의존할만한 데이터 의 기초는 빌딩코드 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므로 북미의 코드를 다루고 익히는 것이 지금으로서는 중요하다고 받아들여야 한다.

 

 

지붕12.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