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화상 카메라가 간다
열화상 카메라에 잡힌 결/정/적/인 순간들
열화상 카메라는 만능이 아니다. 기본적인 성능과 그 한계점을 잘 알고 사용을 해야만 한다. 항상 함수율 측정기와 같은 추가적인 측정 장 치를 이용해서 판단 오류가 생기지 않도록 보정을 해야만 한다. 그래도, 표면에 나타나는 온도차에 따른 형상만을 가지고 추정을 해야 하 기 때문에 벽체나 바닥의 재료와 그 아래쪽의 내부 상태를 모르면 오판이 생기기 쉽다. 주택검사에 열화상 카메라를 수년째 사용하고 있 는 나로서도 그런 판단오류는 피할 길이 없다. 잘못 판단했던 오진 사례이다.
오래된 구옥을 리모델링을 한 주택이다. 바닥에 습기 문제가 있다고 했다. 집안 벽체 하단부로 습기들이 타고 올라와서 벽지에 곰팡이들 이 생긴다고 했다. 이미 두 번 도배를 다시 했다고 한다. 검사 시점에는 도배를 새로 한지 그리 오래되질 않아서 도배지는 멀쩡해 보였다. 그러나 벽체 하단부쪽으로 습기들이 많다는 것은 열화상 이미지에 잘 나타났다.
방바닥의 난방배관이 넓게 퍼진 형태로 나타나고 붉고 흰색을 띄고 있다. 측면의 벽체는 위쪽으로 군데군데 둥글게 습기가 올라온 흔적 들이 보인다. 바닥에 습기문제가 있는 것은 명확하다. 그런데, 과연 어느 부분에서 물이 새고 있을까 하는 부분이 관건인 상황이다. 방바 닥 전체를 다시 다 깨고 찾을 수는 없으니 말이다.
보통 난방배관이나 온수배관의 누수와 관련된 문제는 배관의 온도를 높여 놓고 나타나는 형상을 봐 가면서 누수지점을 유추를 한다. 아 무래도 물이 새어 나오거나 흐른 부분들은 다른 곳에 비해서 형상이 달리 나타난다. 그래서 아래 사진의 특이하게 물이 번져 나간 듯한 형 태를 봤을 때 이 주변에서 누수가 생겼을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게다가 옆의 벽체 하단부도 많이 젖어 있고, 함수율 측정기에도 바닥 속 으로 습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조건이 맞아 들어갔다.
그런데, 며칠 뒤 설비업자를 불러 바닥을 깨서 확인해 본 결과 난방배관 주변은 누수의 흔적이 전혀 없고 뽀송하고 깨끗하다는 연락이 왔 다. 이상하다. 그럼 왜 그런 형상이 나타났고, 또 습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을까?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이런 이야기를 한다. 리모델링 을 할 때 바닥을 다 깨어내지 않고 기존의 방바닥 위에 덧방을 했다고 한다. 기존의 방바닥에 방수포를 깔고 그 위에 다시 난방배관을 하 고 방통을 쳤다는 것이다.
그런 상황이라면 방수포 아래쪽이 축축할 수가 있다는 얘기이다. 바닥이 한 겹인 상황과는 전혀 다른 상황이다. 새로 친 방통부분 말고 그 아래쪽의 상태도 확인을 해야만 한다. 그럼 판단 기준이 달라질 수 밖에 없다. 하지만, 아쉽게도 너무 먼 곳인 데다가 이미 한번 신뢰가 깨 진 상태인지라 후속 확인 작업은 이뤄지질 못했다. 바닥 구조를 제대로 사전에 확인을 하지 못해서 생긴 판단 실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