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 세미나 2023-2024 새건협 ‘건축집담’ ○○, 건축가 7.

건축사 세미나

2023-2024 새건협 ‘건축집담’

○○, 건축가 7.

 

건축가 스스로는 그저 내 작업을 하고 있다고 이야기할지라도 외부의 시선에서 자유롭기는 쉽지 않다. 건축가와 그의 작업 모두 타인과 사회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읽히고 정의된다. 이처럼 건축가를 규정하는 시선이나 사회적 이슈와 이어지는 수식어들 중 여섯 개를 추려봤다. 지역, 해외, 작가, 젊은, 여성, 공공.

건축가라는 호칭 앞에 붙는 한마디 단어들은 건축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건축가는 여기에 어떻게 생각하고 반응해야 할까? 건축 작업 및 사무소 운영과는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을까? 여섯 가지 수식어에 따라 마련된 2023-2024 건축집담에서 각 주제에 맞는 활발한 이야기가 오가기를 바란다.

새건협의 건축집담은 2023년 11월 22일부터 2024년 4월 24일까지 정림건축 9층 김정철홀(서울시 중구 세종대로12길 12)과 온라인으로 동시 진행된다.

자료제공_새건축사협의회

www.kai2002.org T.02-575-9751

 

지역, 건축가

자본의 서울 집중이 극심한 우리나라에서,

지역 건축가는 어떤 전선을 형성해야 할까?

오신욱|주식회사 라움건축사사무소 대표

해외, 건축가

해외에서 정착하거나, 오랜 해외 체류 후 귀국할 때,

건축가는 어떤 상황을 마주할까?

정대환|오테라스 디벨럽먼트 대표

문동환|노스케롤라이나주립대 건축과 교수, 엠엠케이플러스 소장

작가, 건축가

건축가는 작가여야 하는가?

건축가의 결과물은 작품일까, 상품일까?

이양재|건축사사무소 엘리펀츠 대표

젊은, 건축가

10년 전 ‘젊은’ 건축가들은 지금 어떻게 자리잡았을까?

‘젊은’ 건축가라는 시선이 그간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신민재|에이앤엘스튜디오 건축사사무소 대표

여성, 건축가

건축가는 젠더 이슈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여성’ 건축가라는 사회적 시선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정예랑|정예랑건축사무소 대표

패널 김정임|서로아키텍츠 대표이사

패널 김사라|다이아거날써츠 대표

공공, 건축가

건축가는 공공성에 대해 어떤 고민을 가져야 할까?

공공건축의 역할과 한계점은 무엇일까?

김용미|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


 

공공, 건축가

 

공공, 건축가

건축가는 공공성에 대해 어떤 고민을 가져야 할까?

공공건축의 역할과 한계점은 무엇일까?

김용미 | 금성건축 대표

 

강의내용

우리나라에 공공건축가 제도를 도입한지 15년. 그것은 주민의 삶과 밀접한 공공공간의 품질향상을 위해 행정의 비전문성을 보완하고자 도입된 민간전문가 제도로서 심의기구가 아니라 행정을 돕기 위한 자문기구이다. 법적으로는 2007년 제정된 건축기본법에 근거를 두고 있다.

공공건축과 ‘공간환경’의 품질향상을 위해 시작된 이 제도는 2009년 영주시가 시범사업으로 처음 도입하였고 이어서 2012년 서울시가 채택하여 주로 작은 공간환경 개선에 많은 성과를 내었는바, 특히 그중에서도 2015년부터 5년간 약 400여 명의 건축가가 참여한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사업은 딱딱했던 민원 공간이 카페와 같은 공간으로 바뀜으로써, 많은 서울 시민들이 혜택을 보았다는 측면에서 파급력이 컸다. 이어서 서울시 교육청 또한 ‘꿈을 담는 교실’ 공공건축가라는 단어가 쓰이고는 있으나 법적인 용어는 민간전문가(총괄건축가, 총괄계획가, 공공건축가, 마을건축가, 2007년)입니다. 건축기획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법적으로 마련된 것이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입니다. 그리고 공공건축심의위원회의 심의로 완성되었습니다.

사업을 통하여 수십 년을 굳건히 지켜오던 고정된 학교 공간을 탈바꿈시키는 계기를 마련했다. 이러한 성공사례에 힘입어 2015년부터 국토부가 지자체를 대상으로 ‘민간전문가 활용 지원사업’을 시행하기 시작했고, 이로 인하여 이제도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현재는 국가뿐 아니라 17개 광역단위에서 13개, 226개 시·군·구에서 46개 지자체가 이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본 강의는 1, 2기 서울시 공공건축가, 2기 서울시 건축정책위원, 1, 2기 제주 총괄건축가로 활동했던 강연자가 사람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도시의 공간환경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는지, 거기에서 공공건축가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실행한 내용이다.

 


공공건축이란?

공공건축은 관공서와 공공단체에 의해 건립‧운영되는 건축물과 공간환경을 말한다.(출처: 국가건축정책위원회)라고 되어 있습니다. 공공이라는 단어를 빼면 건축은 건축물과 공간환경입니다. 공간환경이라는 단어에 주목해주세요. 공공에서는 건축물보다 공간환경이 더 중요합니다. 공간환경의 의미는 건축·도시·조경 인테리어를 포함합니다.

공공건축가라는 단어가 쓰이고는 있으나 법적인 용어는 민간전문가(총괄건축가, 총괄계획가, 공공건축가, 마을건축가, 2007년)입니다. 건축기획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법적으로 마련된 것이 건축서비스산업진흥법입니다. 그리고 공공건축심의위원회의 심의로 완성되었습니다.

민간전문가 자격기준은 건축사, 도시계획기술사, 조경기술사, 대학교 부교수급(건축/도시/조경 관련)이며, 업무범위는 기획, 정책자문, 건축디자인 시범사업 등의 기획 및 설계입니다.

공공건축가 제도의 도입 배경은 유사사업 중복추진, 시설 간 연계확보 어려움, 비효율적인 예산집행, 잦은 설계변경으로 인한 예산낭비, 디자인 품질저하 초래 등 비효율적인 공공건축 및 공공공간 조성에 있습니다.

근본적인 한계로 총괄건축가/총괄계획가, 공공건축가의 임기가 2년이고, 하고 싶어 하는 사람이 너무 많습니다.

건축이 대부분 2년 이상이라 완공을 볼 수 없습니다. 기간이 짧습니다. 그래서 지역의 건축가가 맡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현재 총괄건축가/총괄계획가, 공공건축가 제도를 도입하고 있는 지자체가 상당히 있는데, 자발적인 것이 아니라 선택을 하면 국토부에서 2억의 지원금을 주기 때문에 가동이 되고 있습니다. 지원금이 사라지면 유지할 지자체가 얼마나 있을지 의심스럽습니다.

2023년 전국 총괄/공공건축가 운영 현황

5. 건축집담 1.png

민간전문가 운영 경과

5. 건축집담 2.png

 

운영하고 있는 지자체는 증가했으나, 총괄건축가는 줄고 공공건축가는 늘었습니다. 총괄건축가가 줄어들면 공공건축가가 체계적으로 움직이기가 어렵습니다. 넓게 퍼지기는 했으나 약화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됩니다.


지금부터는 제 경험입니다.

민간전문가로 활동했습니다.

2012년~2015년 1, 2기 서울시 공공건축가

2015년~2017년 2기 서울시 건축정책위원

2019년~2022년 1, 2기 제주 총괄건축가

• 2012년~2015년 서울시 공공건축가로서의 활동

변화를 일으키는 공공건축가 집단의 힘을 보여 주었습니다. ‘건설의 시대’에서 ‘건축의 시대’로 패러다임 전환

01. 아파트 재개발 재건축에 공공건축가 투입으로 인한 변화_12명의 공공건축가

02. 서계동 구릉지 특화주거 모델 제안

03. 찾아가는 동주민센터 공간개선, 꿈담교실 만들기

• 2019년~2022년 1, 2기 제주 총괄건축가

소통으로 이끌어가는 총괄건축가와 지역 공공건축가의 협업

총괄건축가의 가장 큰 미덕은 소통입니다. 총괄․공공건축가의 역할은 “지역의 공간 주치의”입니다. 공공의 건축․공간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 사업부처간의 갈들을 조정하는 사람, 자문위원회를 통하지 않고도 언제든지 협의 가능, 일관되고 지속적인 자문이 가능한 사람입니다.

제주 총괄․공공건축가의 역할은 공공건축․공간환경 개선 / 구도심 활성화 방안 연구 / 유휴․노후공간 개선 / 국비지원 예산확보 / 우수한 지역건축가 육성이었습니다. 제주 총괄․공공건축가의 위상은 행정부시장과 동급으로 부지사대우를 해주었습니다.

전국 행정 기관이 총괄․공공건축가의 존재를 그리고 총괄·공공건축가의 기능을 알지 못합니다. 지역 공공건축가의 도움이 없었으면 불가능했습니다. 공공건축가가 현장 자문 후 분과별로 모여 발표, 공유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총괄·공공건축가 제도 주요 성과

5. 건축집담 3.png


김  용  미 / 금성건축 대표

서울대학교 건축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Paris-Belleville 건축학교에서 Henri Ciriani에게 설계지도를 받았다. 1994년 ‘건축공간박물관’ (김현철과 공저)을 출판하면서 국내활동을 시작하여 초기에는 건축의 고유성, 공간 이야기와 순수조형성 표현에 몰두하였다. 이 시기 작품으로 용인 소방검정공사(한국건축가협회상) 광주시청(한국건축문화대상 대통령상). 목포자연사박물관 등이 있다. 이후 ‘한국건축의 정체성 탐구’라는 화두를 가지고 국내산 집성목으로 지은 횡성 숲체원(목조건축대전 본상), 현대건축과 한옥을 결합한 서울 남산국악당, 고산윤선도 유물전시관 (한국건축문화대상 대통령상), 백제의 토성을 모티브로 한 한성백제박물관 (서울시건축상 최우수상)을 발표하였고 같은 화두의 연장선상에서 한옥에 현대적 생명을 불어넣기 위해 특별히 한옥기술개발과 새로운 모델 개발에 집중한 바 있다. 서울시 공공건축가, 서울시 건축정책위원, 제주특별자치도 총괄건축가로 활동하였다.


시공 · 설계 · 자재 · 건축주를 위한 커뮤니티 매거진, 월간빌더

빌더 게시글 꼬리말 배너.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