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팩트팜 Impact Farm
지난 11월호에 “아웃도어 시설물을 목재로” 라고 하는 제목으로 목재를 활용하여 탄소발자국 줄이기를 중심으로 한 여러 장점에 대해 소개한 바 있다. 이런 활용안의 예로써 유럽에서 제작되어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임팩트팜”을 소개한다.
▼원문 보기
임팩트팜은 소규모의 스마트팜이라고 할 수 있다.
수경재배를 기반으로 하는 “농장”을, 나무와 유리로 구성되는 구조물 안에 조성하고 태양전지를 이용하는 에너지로 운영하는 것이 그 개략의 모습이다.
다음은 기사의 번역이다.
덴마크 기업인 Human Habitat은 신선한 음식을 재배하는 데 필요한 공간이 538제곱피트에 불과한 수경 재배 시스템을 개발했다.
2층 구조로 제곱피트당 재배할 수 있는 음식 양이 두 배로 늘어났다. 도시의 거의 모든 공간에 설치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선한 음식이 필요한 곳이면 어디든 설치할 수 있다.
개발자인 Mikkel Kjaer와 Ronnie Markussen은 이를 ‘Impact Farm’이라고 부른다. 플랫 팩 수경 재배 설계로 사실상 어디든 배송할 수 있다. Impact Farm은 단 10일 만에 포장에서 풀어내 설치하고 운영할 수 있다.
상업적, 지역적 요구에 모두 적합하다. 2층 프레임에서 푸른 식물(및 마이크로그린), 채소, 허브, 과일나무를 재배할 수 있다. 농산물은 수경 재배로, 지역에서 신선한 음식을 재배하는 데 필요한 것은 ‘물’ 뿐이다.
Kjaer는 Collectively에 “자연을 도시로 되돌려주는 녹지공간을 제공하여 사람들이 음식과 다시 연결되기를 원했습니다.”라고 말한다.
사람들에게 학습할 수 있는 유용한 기술과 취업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도시 농장은 저취업과 신선한 음식에 대한 접근성 부족 문제를 해결한다.
창립자들에게 특히 흥미로운 것은 소위 “식량 사막”이다.
이는 전통적인 식료품점에서 서비스를 충분히 받지 못하는 도심 지역이다. “식량 사막” 문제는 최근 미국에서 식품 스탬프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USDA에서 해결했다.
이제 식품 스탬프로 사람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인은 쿠키, 간식 및 기타 고도로 가공된 포장 식품 대신 신선한 음식을 제공해야 한다. 인근의 Impact Farm이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첫 번째 Impact Farm 수경 재배 정원은 현재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운영되고 있다. 다른 유럽 도시에 더 많은 도시 농장을 건설할 계획이 있다.
창립자들은 또한 미국 시장을 조사하고 있다. Impact Farm은 최근 보스턴에서 시작된 Freight Farms 개념과 본질적으로 비슷하다.
이 회사는 운송 컨테이너를 재활용하여 어디에서나 트럭으로 운송할 수 있는 수경 재배 정원으로 만든다. 수경 재배는 상업적 농업에 혁명을 일으키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농업보다 훨씬 적은 물과 살충제를 사용하며 신선한 음식이 가장 필요한 곳에 더 가까이 존재할 수 있다.
전 세계 난민캠프와 비상 쉼터에 사는 불우한 사람들에게는 신의 선물이 될 수 있다.
이하는 벨기에 루벤의 한 대학교 건축학부 홈페이지에 실린 기사를 번역해 본 내용이다.
▼원문보기
코펜하겐, 덴마크
HUMAN HABITAT, UNIVERSITY COLLEGE HABITAT,
REALDANIA & THE CITY OF COPENHAGEN 2016
Impact Farm은 도시에서의 식물 생산을 늘리고 기후 제어를 최적화하며 방치된 도시 공간을 활용하도록 설계된 소형 농장 허브다. 이 농장은 분해가 가능하도록 설계 되었으며 다른 위치에 재 설치하기에 적합한 간단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IMPACT FARM의 프로토타입은 2016년에 Human Habitat에서 설계하여 코펜하겐에 건설되었다. 이 농장은 음식 이벤트, 워크숍, 전시회 또는 콘서트를 주최하는 다기능 공간으로 기능 했다. 게다가 도시 농부들의 만남의 장소를 제공하고 도시 농업 활동에 대한 관심을 증가시켰다.
이 프로토타입은 15개월 동안 사용되었고, 해체되어 같은도시의 영구 장소로 이전되었다. 미학적, 기능적으로 개발된 IMPACT FARM 1.0 버전은 2018년 5월에 문을 열었다.
오늘날 University College Copenhagen의 일부로서 건강과 영양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한 학습 및 실험 허브 역할을 한다. 학생들은 학습할 뿐만 아니라 수직 농장과 식품허브를 유지하는데 기여한다.
IMPACT FARM은 재활용된 운송 컨테이너를 중심으로 건설된 2층 목재 구조를 가지고 있다.
1층은 교육, 업무 및 사회 공간으로 사용되고 최상층에는 토양이 없는 수직 수경 재배 시스템이 채소를 집중적으로 재배하는 데 사용된다.
옥상에는 태양광 패널과 빗물 수집 시스템이 있다. 1층에 있는 컨테이너는 물 탱크, 모종 랙 및 기술 설비를 보관하는 데 사용된다.
온실의 모든 구성 요소는 조립식이다. 분해 가능한 목재 구조와 기타 요소가 컨테이너 내부에 들어맞아 쉽게 이전할 수 있다.
덴마크의 Impact Farm은 도시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성과 식량 안보를 혁신적으로 해결하려는 프로젝트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 프로젝트는 현대 사회에서 여러 시사점을 제공한다.
우선 도시 농업의 혁신적 모델이다. Impact Farm은 모듈형 구조로 이루어진 수직 농장으로, 작은 공간에서도 생산성이 높은 농업을 실현한다. 이는 도시 환경에서 자투리 공간을 활용해 식량을 재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물의 재활용, 에너지 효율적인 LED 조명, 유기농법등을 통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하면서 작물을 생산하는 환경적 지속 가능성과 함께 도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 신선하고 건강한 식재료를 제공하며, 지역 사회와의 상생을 도모하는 사회적 지속 가능성을 제공 한다.
한편 기후 변화로 인한 전통 농업의 어려움이 커지는 상황에서, Impact Farm과 같은 수직 농장은 날씨와 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식량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안정성을 보여준다.
Impact Farm은 식량의 지역 생산-지역 소비 모델을 강조한다. 이는 식량의 이동 거리(푸드 마일)를 줄여 탄소 발자국을 감소시키고, 보다 신선한 식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 내에서 농업을 구현함으로써 새로운 일자리와 창업 기회를 창출할 수 있고, 또한 교육적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 가능한 농업의 중요성을 알리는 등 경제적 기회와 교육에도 기여한다고 본다.
Impact Farm과 아웃도어 리빙(Outdoor Living)은 지속 가능성과 자연과의 연결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의 흐름 속 에서 의미 있게 연결된다.
두 개념 모두 자연과 사람의 조화, 환경적 지속 가능성,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도시 환경 속에서도 자연을 경험할 수 있도록 식물을 재배하고 신선한 식량을 제공함으로써 인간과 자연의 연결을 강화할 수 있는 Impact Farm과 같은 시도는 주거 공간 밖에서 시간을 보내며 자연과 가까워지는 생활방식을 의미 하고 있는 아웃도어리빙에서 정원, 테라스, 공공녹지 공간 등을 활용해 자연 속에서 휴식하고 건강한 삶을 누리는 형태이기도 하기에 두 개념 모두 자연이 주는 혜택을 일상 속으로 가져오는 데 집중한다.
Impact Farm과 같은 시도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며 식량의 지역 생산과 소비를 통해 지속 가능한 도시생활을 추구하는 것으로 수직 농장과 같은 기술로 물, 에너지를 절약하는 것이다.
아웃도어 리빙도 주로 목재 등 지속가능한 재료를 사용한 야외 가구, 태양광 에너지 활용, 자연을 훼손하지 않는 정 원 설계 등을 통해 친환경적 생활을 지향하므로 두 개념 모두 환경적 책임감을 바탕으로 자원 절약과 지속 가능성 을 추구하는 점에서 연결되고 있다.
작은 도시 공간이나 유휴 공간을 수직 농장으로 전환하여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실현하는 것은 주거공간의 외부를 혁신적으로 활용해 생활공간을 확장하는 것과 맞닿아 있다. 이는 제한된 공간을 창의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된다.
지역 커뮤니티 내에서 함께 식량을 재배하고 소비함으로써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고 협력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데 이를 가족, 이웃, 친구들이 함께 모여 시간을 보내는 장으로 하여 커뮤니티 활동과 소통의 중심이 되면 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사회적 지속 가능성을 추구할 수 있다.
이러한 시도는 “녹색 생활 공간”과 “지속 가능한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가는 핵심 요소로 자리 잡게 된다.
* 월간빌더 카페 등에 업로드 되는 기사는 과월호 기사입니다.
** 최신 소식을 빠르게 받아보시고 싶다면 정기구독을 추천 드립니다.
시공 · 설계 · 자재 · 건축주를 위한 커뮤니티 매거진, 월간빌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