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사 세미나 2023-2024 새건협 ‘건축집담’ ○○, 건축가 3.

건축사 세미나

2023-2024 새건협 ‘건축집담’

○○, 건축가 3.

건축가 스스로는 그저 내 작업을 하고 있다고 이야기할지라도 외부의 시선에서 자유롭기는 쉽지 않다. 건축가와 그의 작업 모두 타인과 사회적 관점에서 다양하게 읽히고 정의된다. 이처럼 건축가를 규정하는 시선이나 사회적 이슈와 이어지는 수식어들 중 여섯 개를 추려봤다. 지역, 해외, 작가, 젊은, 여성, 공공.

건축가라는 호칭 앞에 붙는 한마디 단어들은 건축가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건축가는 여기에 어떻게 생각하고 반응해야 할까? 건축 작업 및 사무소 운영과는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을까? 여섯 가지 수식어에 따라 마련된 2023-2024 건축집담에서 각 주제에 맞는 활발한 이야기가 오가기를 바란다.

새건협의 건축집담은 2023년 11월 22일부터 2024년 4월 24일까지 정림건축 9층 김정철홀(서울시 중구 세종대로12길 12)과 온라인으로 동시 진행된다.

자료제공_새건축사협의회

www.kai2002.org T.02-575-9751

 

지역, 건축가

자본의 서울 집중이 극심한 우리나라에서,

지역 건축가는 어떤 전선을 형성해야 할까?

오신욱|주식회사 라움건축사사무소 대표

해외, 건축가

해외에서 정착하거나, 오랜 해외 체류 후 귀국할 때,

건축가는 어떤 상황을 마주할까?

정대환|오테라스 디벨럽먼트 대표

문동환|노스케롤라이나주립대 건축과 교수, 엠엠케이플러스 소장

작가, 건축가

건축가는 작가여야 하는가?

건축가의 결과물은 작품일까, 상품일까?

이양재|건축사사무소 엘리펀츠 대표

젊은, 건축가

10년 전 ‘젊은’ 건축가들은 지금 어떻게 자리잡았을까?

‘젊은’ 건축가라는 시선이 그간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신민재|에이앤엘스튜디오 건축사사무소 대표

여성, 건축가

건축가는 젠더 이슈에서 자유로울 수 있을까?

‘여성’ 건축가라는 사회적 시선을 우리는 어떻게 바라봐야 할까?

정예랑|정예랑건축사무소 대표

패널 김정임|서로아키텍츠 대표이사

패널 김사라|다이아거날써츠 대표

공공, 건축가

건축가는 공공성에 대해 어떤 고민을 가져야 할까?

공공건축의 역할과 한계점은 무엇일까?

김용미|금성종합건축사사무소 대표이사


 

해외, 건축가

 

해외 건축가로 살아가기 #2

해외에서 정착하거나, 오랜 해외 체류 후 귀국할 때,

건축가는 어떤 상황을 마주할까?

문동환 | 노스케롤라이나주립대 건축과 교수, 엠엠케이플러스 소장

 

강연내용

해외에서 20여 년간 살면서 배우고 경험했던 건축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특히 젊은 건축가의 관점에서 마주했던 상황들과 기회들 그리고 현재 하고 있는 작업들을 간단히 소개합니다. 우리 사회와 각각의 커뮤니티 안에서 건축가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협력자(Collaborator) 또는 활동가(Activist)로서의 건축가가 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과 노력들을 쉐어합니다.


1. 해외에서 마주한 건축과 삶, 그 경로

고등학교 2학년까지 한국에서 자랐는데, 그 때까지 저에게 건축이란 아파트 콘크리트 건물이었습니다. 필라델피아에서 살았는데, 어렸을 때 꿈꾸며 그렸던 집, 넓은 정원이 있는 미국의 전형적인 건축이었습니다. 뉴욕 직장에서 도시로서의 건축을 경험, 협력업체와의 관계를 배웠습니다. 대학원에 진학해서 도시설계를 공부하면서 저에게 영향을 많이 미쳤던 것 같습니다. 인도 터키 중국 등 낙후된 개발도상국을 방문하면서 건축이 이러한 환경에 도움이 되고 대화를 이끌어내고, 환경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했습니다. 국제 비영리단체와 함께 사회적 기반으로서의 건축을 하는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


2. 해외에 있는 젊은 건축가들의 삶, 그리고 기회

비영리단체 ‘mtree’를 만나 건축프로그램을 만들게 됩니다. 케냐에서 주로 활동을 합니다. 직접 커뮤니티 안에 들어가서 그들이 필요로 하는 니즈를 발견하고 만들어 가는 것이 목표이었습니다. 학교를 함께 디자인하고 설계하여 지역 자재를 활용하여 완성했습니다. 커뮤니티에 프라이드를 주고, 지역정부에서 참여하게 되어 공식으로 인정하는 초등학교가 만들어졌습니다. 꾸준히 이런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취지가 좋고 의미가 있는 일임에는 확실한데, 은행잔고가 ‘0’가 되기도 했습니다.

새로운 직장을 찾아 새로운 길을 찾게 되었습니다. 사회공헌 프로젝트를 하는 회사, 펜실베니아 대학 병원 프로젝트, 노들섬 공모전(도시 건축 조경 전문가가 함께 준비) 등을 진행했습니다. 건물이 배경이 되고 사람이 중심이 되는 건축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좋은 파트너들을 만났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3. 해외에서 느끼고 배우는 건축가의 롤

Collaborator & Activist

6. 건축집담.png

KAANY 플랫폼과 학교에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분들과 협력해서 만들어가는 과정이 즐거웠습니다. 건축가와 고객의 관계에서만이 아닌 건축가 스스로 능동적인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도시의 사회문제를 건축의 관점에서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일들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사회기반으로서의 건축

새롭게 생겨나는 Design Practice 로부터 배우다

“불평등, 빈곤, 기후 변화와 같은 다양한 복잡한 도시적 과제에 직면하여, 이 세미나는 사회 및 환경적 책임에 중점을 둔 신생 디자인 Practice 에서 사용되는 연구, 참여 및 의사 결정 기술을 배우고 검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우리는 세계 각지의 국제 비영리단체, 건축디자인 사무소, 그리고 think tank를 포함한 다양한 글로벌 디자인 이니셔티브를 연구합니다. 그들의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창의적인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그들의 작업의 측정 가능한 영향과 책임에 대해서도 살펴볼 것입니다.”

“Cities have the capability of providing something for everybody,

only because, and only when, they are created by everybody.”

“도시는 모든 이에게 무언가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 능력은 모든 이에 의해 창조될 때에만 발현됩니다.”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1960, Jane Jacobs

저는 건축을 통해서 협력가로서 활동가로서 사회의 계급이나 인종이나 나라의 구분 없이 많은 사람들과 좋은 장소 좋은 도시를 만들어 가려고 작업하고 있습니다. 같이 협력할 수 있는 분들을 찾고 있습니다.


문  동  환 / 노스케롤라이나주립대 건축과 교수, 엠엠케이플러스 소장

문동환은 건축가이자 도시 디자이너이며 설계 사무소 엠엠케이플러스(mmkplus)의 파트너입니다. 그의 디자인은 도시 맥락적이면서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장소를 강조하며 도시 마스터플랜, 주거시설, 문화시설, 공원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 참여하였습니다. 또한 국제 비영리 단체들과 협력하여 공공디자인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주립 대학교 건축과 교수로도 활동하고 있습니다.

 


 

시공 · 설계 · 자재 · 건축주를 위한 커뮤니티 매거진, 월간빌더

#빌더_게시글_꼬리말_배너.jpg